기사 (2건) 리스트형 웹진형 타일형 인감도장은 가고, 프로토콜이 온다 일본 기업들이 코로나 위기 속에서도 재택근무를 쉽게 실행하지 못하는 이유로 도장 문화가 꼽혔습니다. 더구나 일본 직장인들이 결재 서류에 도장을 찍을 때 대표이사를 향해 마치 절을 하는 듯한 모양으로 기울여 찍는 관례가 흥미롭게 회자되기도 하였습니다. 그렇지만 한국 역시 인감도장과 서류 중심의 문화에서 자유롭지 않습니다. 심지어 수 백 억 원 이상의 부동산 계약을 할 때에도 인감도장에 인주를 묻혀 빈 종이에 꾹 찍어 본 후 사람의 눈으로 인감증명서와 대조하고 고개를 끄덕이며 이상이 없다고 판단합니다. 1. AI 앞에서 인감도장의 효력 인공지능 | 새교육정보 | 2020-11-28 09:37 [금융교육] 뱅크(Bank)와 뱅킹(Banking)의 차이 본 원고는 중앙일보 조인디의 편집을 거쳐 https://joind.io/market/id/1362 으로 게재되었습니다. 아래는 편집국에 제출한 원문입니다.지난 해 여름 카카오뱅크가 모바일뱅킹 사용자 수 1위를 차지하며, 디지털 기업이 제공하는 금융서비스의 파괴력을 보여주었습니다. 올해는 토스가 이어서 인터넷전문은행 서비스를 시작합니다. 빌게이츠는 일찌감치 1999년에 저술한 ‘생각의 속도’를 통해, 금융서비스(Banking)은 필요하지만 그 주체가 전통은행(Bank)은 아닐 수 있다고 예견하였습니다. 미국인의 75% 이상이 “본인들 디지털 | 새교육정보 | 2020-01-23 00:37 처음처음1끝끝